반구대 암각화 침수 세계유산 등재 일주일만.. 피해현황과 복원 대책은?
반구대 암각화 침수 주요 현황
-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7월 12일)된 울산 ‘반구천의 암각화’ 중 반구대 암각화가 등재 열흘도 안돼 집중호우로 물에 잠김
- 19일 새벽, 사연댐 수위가 53m를 넘어서며 침수 시작 → 오후 1시 경 수위 57m까지 상승으로 암각화 완전 침수
- 2023년 태풍 ‘카눈’ 이후 636일 만의 침수, 17~19일 최대 281mm의 폭우, 사연댐에는 초당 최대 535㎥가 유입
- 반구대 암각화는 사연댐 수위에 직접 영향…매년 수차례 반복되는 훼손과 복원 이슈 대두


울산지역 집중호우 및 연쇄 피해
- 태화강 상류~중류 전역, 동천 등지에 홍수특보 발령(2년 만) → 도로 15곳, 차량 50여대 침수·통제
- 산사태, 인명 피해, 주민 대피 등 비상경보 잇따름
- 울산·경남권 댐 인프라와 재난 대응이 문화유산 안전과 직결됨을 이번 침수로 다시 확인

반복 침수 속 암각화 보존관리 역사와 과제
- 반구대 암각화는 1965년 사연댐 건설 이후 지속적 침수 → 2005~13년 연평균 151일 잠김, 근래는 연평균 70~95일(호우 집중시 다시 장기 수몰)
- 2014년 이후 국가유산청·한국수자원공사 등이 임시 방책, 수위 낮추기, 보호 페인트 등 다양한 시도 → 효과는 제한적
- 댐에 수문 3개 신설 추진(2026년 착공, 2030년 완공 예정) → 집중호우시 수 시간 내 물빼기 허용, 미래 재난에도 사고 최소화 기대
- 물포기(하루 약 4만9천 톤)와 대체 취수원(운문댐 물 확보 등) 논란으로 인프라 연계 정책 필요
긴급 인프라 정책포인트: - 문화재 보존과 상수도, 수자원, 대구·울산 취수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장기적 협의와 선제 대응이 필수!
장기적 보존·복원 및 시민사회 과제
- 202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때부터 보존정책, 복원기술, 시민공조 요구 커져 옴
- 선진국 사례(이탈리아·포르투갈 등) 연구 착수, 현장 실시간 모니터링 강화, 투명 돔·차수벽 등 예비안 구체화 필요
- 시민사회·지자체 협력, 문화유산 보전 캠페인, 교육 확대 등 정책 연계
- 한국의 인프라 재난 정책 뉴스·문화유산 침수 연구, 세계유산 등재의 국제적 책무 강조
산청 산사태로 알아보는 피해자 지원 정책과 복구 신청 방법 총정리
산청 산사태로 알아보는 피해자 지원 정책과 복구 신청 방법 총정리 산사태 실종·피해 현황 요약2025년 7월 산청군 집중호우로 대형 산사태 발생, 인명·재산 피해 다수집중호우와 산사태로 일부
ssun1204.com
오산 옹벽 붕괴 사고에 대통령 질의, “도로통제 왜 안 했나?”
오산 옹벽 붕괴 사고에 대통령 질의, “도로통제 왜 안 했나?” 대통령, 오산시장에 직접 “왜 도로 통제를 안 했나?” 책임 질의2025년 7월 18일 이재명 대통령이 집중호우 점검회의에서 “충분히
ssun1204.com
광명 아파트 화재 주차장 방화 추정 3명 심정지 인명 피해 총 5명
광명 아파트 화재 주차장 방화 추정 3명 심정지 인명 피해 총 5명 화재 개요·현장 진압 및 인명피해 현황발생 시각: 2025년 7월 17일 밤 9시5분,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오크팰리스 아파트 1층 주차장
ssun1204.com
광주천·오산 옹벽 붕괴 및 전국 폭우·호우·침수 재난속보 및 대피현황
광주천·오산 옹벽 붕괴 및 전국 폭우·호우·침수 재난속보 및 대피현황 속보 요약 – 전국 폭우 피해와 인명 대피 현황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발표: 7월 17일 전국적으로 쏟아진 폭우로 4
ssun1204.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