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군 반구대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보존 관리 및 복원 대책
반구대 암각화 침수 피해 – 2025년 7월 현황
- 2025년 7월 19일, 경남 울주군 반구대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7월 12일) 불과 일주일 만에 집중호우로 침수
- 사연댐 수위가 53m를 넘어서면서 오전 5시부터 암각화가 물에 잠기기 시작, 오후 5시 수위는 57m를 돌파해 상당 부분 수몰됨
- 최근 3일간 울주군 두서면 281mm 등 울산 전역에 많은 비, 2023년 10월 이후 1년 7개월 만에 또다시 침수
- 반구대 암각화 침수로 훼손 우려, 보존 관리의 시급성 다시 부각
반구대 암각화는 사연댐의 물이 불면 매년 40일 이상 수몰 위험에 노출되어 왔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에도 불구, 댐 구조적 문제와 집중호우 시 보호 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계속됐습니다.

세계유산 등재 이후 “반구천 암각화”의 국제적 가치
- 2025년 7월,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가 ‘반구천의 암각화’란 이름으로 한국의 17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6천 년 전 한반도 선사인이 남긴 고래사냥·동물·인간상 바위그림 등 유산의 창의성과 독창성 극찬
- 세계유산위원회, 수몰 반복에 대한 보존방안·복원정책 강화 요청
보존 관리 및 복원 대책 방향
- 댐 수위 조절(여수로·수문 설치)로 암각화 침수 기간·횟수 최소화
- 임시 제방·물막이 등 긴급 방재, 국지성 집중호우 대비한 유적지 모니터링 체계 확대
- 환경부, 문화재청, 울산시 협력 하에 ‘세계유산 관리계획’ 및 기술진단 강화
- 지속적인 수몰·노출 반복 시, 바위 표면 퇴적물·조류 등 오염 원인 제거, 금속 프레임 등 보호시설 신설 논의
- 시민 의견수렴, 국제 전문가 자문 통한 장기 생태복원 프로젝트 필요
장기 보존과 복원 정책 – 국내·외 벤치마킹
- 댐 수위·방류량 자동 조절 모니터링, 세계유산센터 실시간 보고
- 비·홍수 예보 시 ‘선제적 방류’와 현장 인력 24시간 예찰체계 추진
- 이탈리아·포르투갈 등 세계 암각화 보호 사례 참고, 기술 원조·공동연구 확대
- 지속 가능한 유산 관람 및 지역사회 참여형 보호 활동 필요
- 국내 체험·교육 연계로 유네스코 보존정책 홍보 및 침수방지 시민 캠페인 장려
전문가 제안: 예비보존시설(투명 돔, 모듈형 차수벽 등)과 빗물 캡처·배수채널 정비로 “수몰-노출”을 반복하는 특수 상황에 맞는 복합적 대책이 필요합니다.
산청 산사태로 알아보는 피해자 지원 정책과 복구 신청 방법 총정리
산청 산사태로 알아보는 피해자 지원 정책과 복구 신청 방법 총정리 산사태 실종·피해 현황 요약2025년 7월 산청군 집중호우로 대형 산사태 발생, 인명·재산 피해 다수집중호우와 산사태로 일부
ssun1204.com
오산 옹벽 붕괴 사고에 대통령 질의, “도로통제 왜 안 했나?”
오산 옹벽 붕괴 사고에 대통령 질의, “도로통제 왜 안 했나?” 대통령, 오산시장에 직접 “왜 도로 통제를 안 했나?” 책임 질의2025년 7월 18일 이재명 대통령이 집중호우 점검회의에서 “충분히
ssun1204.com
광명 아파트 화재 주차장 방화 추정 3명 심정지 인명 피해 총 5명
광명 아파트 화재 주차장 방화 추정 3명 심정지 인명 피해 총 5명 화재 개요·현장 진압 및 인명피해 현황발생 시각: 2025년 7월 17일 밤 9시5분,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오크팰리스 아파트 1층 주차장
ssun1204.com
광주천·오산 옹벽 붕괴 및 전국 폭우·호우·침수 재난속보 및 대피현황
광주천·오산 옹벽 붕괴 및 전국 폭우·호우·침수 재난속보 및 대피현황 속보 요약 – 전국 폭우 피해와 인명 대피 현황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발표: 7월 17일 전국적으로 쏟아진 폭우로 4
ssun1204.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