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침수피해2

경남 산청 폭우·산사태,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 배경과 현장 상황 경남 산청 폭우·산사태,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 배경과 현장 상황 폭우와 산사태, 산청 지역 대참사 현황2025년 7월 17~19일, 산청과 인근에 누적 700mm 이상의 기록적 폭우가 내려 최소 4명 사망, 3명 심정지, 2명 실종 등 인명 피해 발생산청·합천 등지에 하루 최대 350mm, 시간당 100mm 극한 호우산사태, 하천 범람, 도로·주택 침수, 전 군민 대피령 발령고립/침수·통신장애·정전 속출, 구조·복구 작업 난항산청 일대는 올해 3월 대형 산불로 산림이 훼손돼 지반 약화, 빗물 유입 시 산사태 위험이 일반 지역보다 월등히 높았습니다.국가 소방동원령이란? 언제, 왜 발령됐나2025년 7월 19일 오후 1시, 소방청이 산청군에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재난 발생 지역(산청군)의 소방력만으로는 .. 2025. 7. 20.
울주군 반구대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보존 관리 및 복원 대책 울주군 반구대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보존 관리 및 복원 대책 반구대 암각화 침수 피해 – 2025년 7월 현황2025년 7월 19일, 경남 울주군 반구대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7월 12일) 불과 일주일 만에 집중호우로 침수사연댐 수위가 53m를 넘어서면서 오전 5시부터 암각화가 물에 잠기기 시작, 오후 5시 수위는 57m를 돌파해 상당 부분 수몰됨최근 3일간 울주군 두서면 281mm 등 울산 전역에 많은 비, 2023년 10월 이후 1년 7개월 만에 또다시 침수반구대 암각화 침수로 훼손 우려, 보존 관리의 시급성 다시 부각반구대 암각화는 사연댐의 물이 불면 매년 40일 이상 수몰 위험에 노출되어 왔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에도 불구, 댐 구조적 문제와 집중호우 시 보호 대책.. 2025. 7. 19.